refreshtoken 썸네일형 리스트형 인증 및 세션 관리를 위한 방법 1. Token-Based Authentication 방식OAuth 2.0: 리소스 소유자의 허가를 받아 서버에서 엑세스 토큰을 발급받고 이를 통해 보호된 자원에 접근하는 방식JWT(JSON Web Token): 로그인시 서버에서 JWT를 발급하며, 클라이언트는 이후 요청시 이 토큰을 포함하여 인증을 수행장단점장점무상태성: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저장할 필요가 없으며, 각 요청은 독립적으로 처리된다.확장성: 서버의 확장성이 높아져 부하 분산 및 성능 향상에 유리하다.보안성: 비밀번호가 아닌 토큰을 사용하므로, 보안이 강화된다.(AT 유효기간이 짧아 유출 시 피해를 줄일 수 있다)다양한 클라이언트 지원: 앱, 웹, 데스크톱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 가능하다단점상태관리: 기본적으로 상태 비저장(s.. 더보기 이전 1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