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금융/암호화폐

비트코인 반감기

반감기란

  • Halving
  •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채굴 블록 보상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이벤트
  • 반감기는 210,000 블록마다 또는 대략 4년마다 발생한다.
  • 2024 5월 9일 기준 총 4회의 비트코인 반감기 이벤트가 발생했다
    • 2024년 4월의 보상은 기존 블록 보상 6.25 BTC → 3.125 BTC로 감소했다.
    • 2012년 첫 번째 반감기에서 50 BTC → 25 BTC
    • 2016년 두 번째 반감기에서 25 BTC → 12.5 BTC
    • 2020년 세 번째 반감기에서 12.5 BTC → 6.25 BTC

반감기의 이해

  • 작업 증명 네트워크로서 비트코인은 트랜잭션을 검증하고 블록에 포함시키는 일을 모두 채굴자에게 맡긴다.
  • 채굴자는 퍼즐을 푸는 일종의 추첨 방식의 경주에 참여한다
  • 승리한 채굴자는 합의 메커니즘을 사용해 보류 중인 다음 블록을 네트워크에 브로드캐스팅하며, 이는 두 크립토 노드 네트워크에 의해 검증된다.
  • 블록이 승인되면 블록체인에 추가된다.
  • 성공적으로 채굴된 각 블록에는 보상이 발생하며, 24년 5월 기준으로 3.125 BTC를 산출한다.
  • 채굴자는 블록별로 보상을 받는다.
  • 보상이 네트워크로 유입되는 비트코인의 방출속도를 결정한다.

비트코인의 공급량

  • 총 공급량은 2,100만개로 제한된다.
  • 이미 93% 이상이 유통되고 있으며, 유통량은 총 1,900만 BTC에 달한다.
  • 공급량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, 인플레이션에 취약한 법정화폐보다 유리하다.

비트코인 반감기와 디플레이션

  • 4년 마다 블록 보상이 50%씩 감소한다.
  • 이러한 이벤트는 마지막 BTC가 생산되는 2140년까지 계속 된다.
  • 금에서 알 수 있듯이 희소성은 자산에 훨씬 더 큰 가치를 부여할 수 있다.
  • 비트코인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치가 증가하도록 설계되었다.
  • stock-to-flow ratio 원칙의 기초이다.

Stock-to-flow model

  • 특정 자원이 얼마나 풍부한지를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.
  • 자원의 매장량을 매년 생산되는 자원의 양으로 나눈 값
  • 예제
    • 현재까지 대략 190,000톤의 금이 채굴된 것으로 추산한다.
    • 해당량(전체 공급량)을 우리는 스톡(stock)이라 한다.
    • 매년 채굴되는 금의 양은 2,500 ~ 3,000톤이다.
    • 이를 플로우(flow)라고 한다.
    • 190000 / 3000 → 63.3
    • 190,000톤의 금을 채굴하는데 63.3년의 시간이 걸린다는 것을 의미
  • 스톡 투 플로우 비율이 높을 수록, 전체 공급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새로운 자원이 시장이 공급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

참조

https://www.ledger.com/ko/academy/주제/crypto/bitcoin-halving

https://academy.gopax.co.kr/biteukoingwa-s2f-stock-to-flow-model/